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는 어디일까요?

독자님들께선 너무나 당연하게 “중국!”을 떠올리실 거라 생각합니다. 이제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졌던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인도’로 바꾸셔야 합니다. 

17일 오전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인구가 14억1175만명으로, 2021년 말 기준 14억1260만명보다 85만명 줄어들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출산한 신생아는 1000만명 아래인 956만명이었고, 같은 기간 1041만명이 숨졌습니다. 중국의 인구는 지난해 말 현재 14억1175만명이지만,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이달 1일 현재 인도 인구는 14억2203만명이라 합니다. 중국과 인도의 인구 순위가 이미 뒤바뀐 것입니다.

중국의 인구가 줄어든 것은 61년 만입니다. 1961년 마오쩌뚱이 주도한 대약진 운동이 실패하며 발생한 대기근으로 수천만명이 숨지며 중국 인구는 일시적으로 348만명 줄어든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후 중국 인구는 너무나 당연한 듯 늘어왔고, 중국 정부는 이를 감당할 수 없어 한동안 ‘한 부부, 한 자녀 갖기’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중국의 인구가 줄어들었다는 사실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중국의 인구 문제는 현재 치열하게 진행 중인 미-중 간 전략 경쟁을 논할 때 간과할 수 없는 핵심 문제입니다. 우리는 당연히 성장하는 중국이 언젠가는 국내총생산(GDP) 규모에서 미국을 뛰어넘을 것이라 예상해 왔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성장률 감소, 미국이 주도하는 ‘대중 포위망’에 이어 중국 정부가 단기적으로 도무지 어찌해 볼 수 없는 인구 문제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일본 민간 경제연구소인 ‘일본경제연구센터’는 지난달 14일 아시아·태평양 18개국 및 지역을 대상으로 한 ‘제8회 아시아 경제 중기 예측’(2022~2035년)을 발표했습니다. 센터는 이 보고서에서 보수적 시나리오를 적용해도 중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앞으로 미국을 추월하지 못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핵심 원인 중 하나는 인구입니다. 유엔 추정에 따르면 2035년에는 중국의 60살 이상 인구가 전체의 30% 이상을 차지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됩니다. 이에 견줘 미국은 중남미에서 계속 젊은 노동력이 유입됩니다.

‘인구 문제로 가장 골머리를 썩이는 나라가 대한민국인데, 지금 누굴 걱정하느냐구요’. 아, 그 말씀이 맞습니다. 지금 내 코가 석자입니다. 한국의 인구 문제야말로 지금 우리가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고민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픽사베이
zog(조그), yog(요그), tsog(트소그). 이 중 욕설인 것은 뭘까요? 혹시 tsog를 골랐나요? 사실 모두 욕설이 아닙니다. 그런데도 그 단어가 오해를 사는 과학적 이유가 있습니다.
고장난 전자제품을 고쳐 쓰고 싶어도 쉽지 않죠. 부품이 없거나 비용이 엄청나거나. 그만큼 ‘수리권’을 침해받고 있는 건데요. 이 권리를 보장하려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게 꽤 많습니다.
해외순방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이란을 UAE의 적으로 규정했습니다. 여기에 이란은 분노하고 UAE는 난감해하고 있는데요. 안에서 하던 ‘갈라치기’, 밖에선 안 통하겠죠?     
기후변화 대응도 시급하고 동물 보호도 시급하죠. 그래서 두 가치가 충돌하면 답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꼭 그렇진 않습니다. ‘기후정의’만 다르게 정의해도 길이 보입니다.   

인천국제공항 옆 스카이72 골프장에서 강제집행이 진행됐습니다. 땅 주인인 공항공사가 소송에서 이긴 데 따른 조치인데요. 흔히 보아온 강제집행 현장과 좀 다릅니다.

  

희생자를 위한 기도

신화 연합뉴스
지난 15일 네팔 항공기 추락 사고로 희생된 72명을 추모하기 위해 사람들이 모인 곳. 어두웠던 비행기를 초가 비춥니다. 그곳에 탔던 사람들에겐 저마다의 이야기가 있습니다.👉기사보기  

살해된 언론인 86명

지난해 전 세계에서 나흘에 한 명꼴로 언론인이 살해를 당했습니다. 1년 전보다 50% 급증한 건데요. 민감한 주제에 대한 보도·취재를 했다가 보복을 당한 걸로 추정됩니다.👉기사보기
캥거루 ‘다섯 번째 다리’의 쓸모 
캥거루가 두 개의 뒷다리로 겅중겅중, 참 잘도 뛰죠? 캥거루는 시속 70㎞까지도 달릴 수 있다고 합니다. 이때 균형을 잡아주는 게 바로 꼬리인데요. 캥거루의 비밀은 이것만이 아닙니다.👉애피레터 보기
어찌 보면, 지난해 조선소 하청노동자 파업은 잔뼈 굵은 조선노동자들의 ‘마지막 외침’이었다. 그걸 끝으로 노동자들은 떠나가고 있다. 그리고 이런 떠남의 상처와 비용은 크기 마련이다. 정부는 서둘러 숙련기능인력 충원하겠다며 취업정착금, 조선업희망공제 지원, 훈련지원금 등 여러 정책을 내놓고 있다. 당장 수백억원 이상 재원이 필요하다. 이런 식으로 기업이 감당해야 할 비용을 정부와 사회가 떠맡고 있다.
조선업이 서서히 살아나고 있지만 정작 배를 만들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지금이라도 조선소로 사람들을 불러들일 방법은 뭘까요? 정답은 간단한데 정부는 자꾸 오답을 말합니다.👉[이상헌의 바깥길] 저기 떠나가는 노동자
이 뉴스레터는 한겨레 부국장단과 콘텐츠기획팀의 협업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오늘 레터는 어땠는지요? 저희는 구독자들께 최고의 뉴스 안내자가 되고 싶습니다. 오늘 뉴스에 대한 피드백, 문의는 언제든 아래로 보내주세요. 

Write a comment